|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os path isdir
- os 모듈
- exif
- 파이썬 디렉토리
- Deep Learning
- 디렉토리
- Jupyter Notebook
- comprehension
- exif orientation
- VS Code
- 이미지 회전
- os listdir
- virtualenv
- 파이썬
- Python
- Astrous Convolution
- ipynb
- ipykernel
- Convolution
- orientation
- 개발환경
- xception
- 이미지 반전
- os path join
- ASPP
- Semantic segmentation
- Visual Studio Code
- rotate
- deeplab
- os path isfile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Deep Learning (1)
어쩌다 딥러닝 연구원
 DeepLab V3 이해를 위한 이정표
			
			
				DeepLab V3 이해를 위한 이정표
				입사 후에 보니 회사 내에서 현재 처리해야 하는 프로젝트가 semantic segmentation를 활용해야 한다. 따라서 모델을 왜 쓰고 훈련을 어떻게 하고 inference는 어떻게 해야 할지 등을 알아야 한다. 이 글에서는 semantic segmentation 모델의 일종인 DeepLab V3를 왜 쓰는지 알아보기 위한 모든 것을 개인적으로 기록할 것이다. 책임님께서 주신 링크를 토대로 구글링을 해보는 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글은 top down 방식으로 지식을 탐구할 것을 권장한다. 직접 알려드리는 것이 아닌, 검색할 키워드를 던져준다고 생각하면 좋다. 실제로도 모르는 것을 찾아 들어가면 그 안에서 또 모르는 것이 나오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공부가 진행되었다. DeepLab V3가 뭐지? (첫번째..
				개발
				
				2020. 2. 28. 12:08